티스토리 뷰
실업급여 부정수급 벌금 및 사례
사회 생활을 하다보면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회사를 그만 두어야 할 때가 있습니다. 이때 생활의 안정을 위해서 정부가 일정 자금을 지원해 주는 제도를 실업급여라고 합니다.
이런 유용하고 좋은 제도에도 벌금이 존재 합니다.
▶ 실업급여 부정수급 벌금
실업급여가 퇴직한 모든 사람이 받을 수 있는것은 아닙니다.
자신의 발로 회사를 그만둔 경우
즉, 개인적 사유로 인해서 그만 둔 경우 및 개인의 실수로 회사에서 해고되거나, 무단결근, 횡령 및 법을 위반하여 퇴사한 경우에는 실업급여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.
실업급여 부정수급 사실이 밝혀졌을 때 벌금으로는
- 수급액 반환 (지금까지 받은 실업급여 반환) 및 실업급여 중지
- 실업급여 부정수급 금액의 2배 징수 (경우에 따라서 해당)
- 반환 명령을 이행하지 않거나 2회 이상 적발되었을 경우 형사 처분 가능
- 2명 이상이 합심하여 실업급여 부정수급을 하여도 형사 처분 가능
- 형사적 처분은 300만원 미만의 벌금 및 1년 이하의 징역
▶ 실업급여 부정수급 사례
실업급여 부정수급에 해당하는 경우는
- 신청 할 때 피보험자격 취득 및 상실을 허위 신고한 경우
- 개인적인 사유로 인해서 퇴사인데 권고사직 퇴사라고 허위 신고한 경우
- 급여기 초임금일액산정의 기초가 되는 임금액을 과다하게 기재한 경우 (회사에서 받은 월급 또는 4대보험의 금액을 과다하게 기재한 경우)
- 이직의 사유를 허위로 신고한 경우
- 취업상태인데 실업하였다고 신고한 경우
- 구직의 활동을 하지 않는데 구직 활동을 한다고 허위로 신고한 경우
이밖에도 자영업을 하는 경우, 근로소득 미신고 등의 경우가 있습니다.
▶ 실업급여 부정수급 신고 포상
주변의 실업급여 부정수급을 목격하고 신고 및 제보 하시면 포상금도 있습니다. 포상금은 지급액의 20%, 최대 5,000,000원 (500만원) 입니다.
신고시 부정수급자의 사업주와 공모한 사실이 인정될 경우 최대 30,000,000원 (3,000만원) 까지 포상금이 주어 집니다.
이상으로 실업급여 부정수급 벌금 및 사례에 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.
작은 도움이라도 되셨으면 좋겠네요...ㅎ
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~~~ㅎ
'복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해산급여 출산지원 (0) | 2017.11.22 |
---|---|
근로장려금 신청 및 지급현황 총정리 (0) | 2017.11.21 |
국민연금 출산크레딧 제도 알아봅시다 (0) | 2017.11.10 |
육아휴직 대체인력지원금 (육아휴직 지원금) 이란 (0) | 2017.11.09 |
취업성공수당 받기 (청년취업성공패키지) (0) | 2017.11.07 |